구매3 금액 협상을 잘 하려면? - 구매업무 간 네고(Negotiation)에 대한 전략 구매업무를 하다보면, 공급업체와의 금액협상은 빠질 수 없는 과정입니다. 금액협상은 구매자와 판매자의 이익을 조율하는 중요한 작업이며, 양측의 만족도와 장기적인 관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다면, 구매업무에서 금액협상을 잘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1. 시장조사를 철저히 하라 금액협상을 하기 전에는 시장에서 유사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시장조사를 통해 자신의 예산과 목표가격을 설정하고, 공급업체에게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장조사를 통해 공급업체의 경쟁력과 장단점을 분석하고, 협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2. 협상전략을 세우라 금액협상을 하기 전에는 자신의 협상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협상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될 수 .. 2023. 7. 26. 구매프로세스 종류와 단계별 특징(RFI, RFP, RFQ) 구매 및 입찰 단계와 관련된 용어 중 RFI, RFP, RFQ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용어의 의미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FI(Request For Information) 각 업체에 대한 정보를 위해 요청하는 단계입니다. 도급계약이나 입찰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체가 대체 어떤 회사인지, 어떤 사업을 하고 있으며 지배구조는 어떤지, 재무적인 안정성은 있는지를 확인해야합니다. 이를 위해 각 업체들에게 회사소개서 등을 통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입니다. 해당 회사가 계약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업체풀에 포함시켜서 구매를 진행하게 되고, 다음 단계인 기술평가나 경쟁입찰 단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통상 RFI는 신규업체를 발굴하고 업체풀을 구성할 때 시행하게 됩니다. RFP(Reques.. 2023. 7. 21. VA(Value Analysis)와 VE(Value Engineering) 오늘은 VA(Value Analysis)와 VE(Value Engineering)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VA와 VE란? 2. VA/VE의 6단계 프로세스 3. VA/VE의 장점 1. VA와 VE란? VA는 가치 분석을, VE는 가치 공학을 의미합니다. 둘 다 기능-비용 비율을 최적화하여 제품 또는 공정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체계적인 방법입니다. 가치는 기능 대 비용의 비율로 정의되며, 여기서 기능은 고객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하는 성능 또는 품질이며, 비용은 제품 또는 프로세스를 생산, 제공 및 유지하기 위한 총 지출입니다. VA와 VE는 종종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VA는 일반적으로 이미 사용 중이거나 생산 중인 기존 제품 또는 프로세스에 적용되는 반면 VE는 설.. 2023. 7. 15. 이전 1 다음